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6

영화 자전거 탄 소년 시릴을 치유하는 철학 (뤽 다르덴)인간의 일에 대하여는 다르덴 형제의 동생 뤽 다르덴 감독이 영화를 촬영하며 메모한 글을 책으로 엮은 철학에세이입니다. 그의 이 에세이는 영화존재의 토대이자 심리적 씨앗이며 철학적 배경 그 자체입니다. 뤽 다르덴은 시릴이라는 소년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시릴의 몸짓과 침묵, 분노, 폭력 충동, 그리고 사랑을 받아들이려는 작은 변화 속에서 "신 없는 세상에서 인간은 어떻게 살아남는가"라는 거대한 질문을 던졌습니다.1장에서 제시된 죽음의 불안과 신의 부재, 그리고 7장에서 드러나는 사랑의 가능성과 공감의 회복은 의 장면마다 정서적 수맥처럼 흐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릴이 아버지를 집착하듯 찾는 장면은 존재를 확인해줄 절대적인 타자를 향한 첫 절박한 외침이라 할.. 2025. 6. 22.
<탑> (2022.홍상수) 홍상수 감독의 영화는 언제나 무심한 듯 보이지만, 실은 지극히 정제된 감각으로 삶의 결을 포착합니다. 그는 일상의 반복 속에서 예기치 않게 흔들리는 감정의 결, 그리고 관계의 파동을 유려하게 끌어올립니다. 1996년 데뷔작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이후, 《하하하》로 칸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상을,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로 로카르노 영화제 황금표범상을, 《도망친 여자》로 베를린영화제 은곰상 감독상을 수상하며 세계 영화계에서 꾸준히 주목을 받아왔습니다.특히 그는 2020년대에 들어서며 《소설가의 영화》(2022), 《탑》(2022), 《여행자의 필요》(2024) 등을 통해 작가주의 영화의 정점에 선 채, 해마다 1~2편씩 영화를 만들어내는 거의 유일한 감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미리 정해진 대본 .. 2025. 6. 22.
[들뢰즈의 영화철학](이지영) 이 책은 철학자 질 들뢰즈가 영화를 통해 열어낸 사유의 새로운 지평을 따라가며, 그 철학을 이해하고, 실제로 삶과 영화에 적용하며, 더 나아가 그것을 확장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습니다. 저자인 이지영 교수는 들뢰즈의 사유를 단지 해석하거나 분석하는 데에 머무르지 않고, 그것을 하나의 사다리 삼아 올라서고, 그 위에서 다시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유의 결을 변주해갑니다.흔히 들뢰즈의 영화철학은 존재론적 사변이나 난해한 미학 이론으로 오해받곤 합니다. 그러나 이 책은 그 철학이 단지 개념의 놀음이 아니라, 우리 삶을 더 생성적이고 창조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주는 하나의 사유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차분하게 설득합니다. 저자는 독자들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익숙했던 인식의 틀과 감상의 관습을 조금씩 비틀고, 들뢰즈가 제.. 2025. 6. 22.
영화 장면 안에서 말 없이 말하는 것들 카메라가 멈춘 그곳엔, 말보다 깊은 감정이 있습니다. 영화는 말보다 먼저 보이는 것으로 말합니다. 프레임 안에 누가 어디에 있는가, 어떤 색과 빛이 인물을 감싸는가, 공간의 크기와 거리감은 어떤 감정을 말없이 건네는가. 이런 모든 구성 요소를 미장센이라 부릅니다. 미장센은 단지 무대 연출의 의미를 넘어서 영화에서 인물의 심리, 서사의 분위기, 감정의 기류를 시각적으로 설계하는 핵심언어입니다. 대사는 침묵할 수 있지만, 공간은 늘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 장면의 언어를 읽는 법 - 미장센이 감정을 설계하는 방식미장센은 크게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공간 구성 – 카메라 안에서 인물과 사물이 배치된 방식조명과 명암 – 분위기와 감정의 톤을 설정하는 빛의 사용색채와 의상 – 상징과 정서를 암시하는 .. 2025. 6. 22.
영화가 더 맛있어지는 감상의 기술 영화는 현실의 거울이어야 한다는 사실주의, 이야기 전달이 중심인 고전주의, 영화는 창조된 예술이라는 형식주의가 있습니다. 영화를 다양하게 감상하는데 알아두면 좋은 영화의 Cont에 대해 공부해봅니다. 🎬 영화의 형식 – 세 가지 시선, 세 가지 세계영화는 단순한 이야기 전달을 넘어,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와 감각을 담아내는 형식의 예술입니다.영화의 형식은 크게 사실주의, 고전주의, 형식주의로 나뉘며, 각각은 현실을 다루는 방식과 시각적 표현, 내러티브의 구성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 세 가지 형식은 영화가 어떻게 세계를 재현하고, 어떻게 관객과 정서적·지각적으로 소통하는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틀이 됩니다.📷 사실주의 – “있는 그대로의 세계”사실주의는 현실 세계를 있는 그대로 재현하려는 경향.. 2025. 6. 22.
반응형